해외선물사이트 시장의 최신 뉴스와 분석을 제공합니다.

해외선물사이트 뉴스

해외선물 뉴스

스마트투자컨설팅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로벌 마켓 리포트 1월 14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스마트투자컨설팅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5-01-14 13:00

본문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13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86% 상승한 4만2297.12에 마감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0.38% 하락한 1만9088.10을 기록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0.16% 상승하면서 5836.22로 마감했다.
국채 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 이날 주식시장은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장중 약세를 보이던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장 후반으로 갈수록 낙폭을 줄이거나 상승 전환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의 AI 반도체 추가 수출 제한 발표로 기술주가 두드러진 약세를 보였다. 엔비디아와 Arm홀딩스, 마이크론은 각각 1.97%, 2.43%, 4.31% 하락했다.
후퇴한 기준 금리 인하 전망도 증시에 부담이 됐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 그룹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상반기 내내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가장 유력하게 바라보고 있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미국의 강력한 고용 지표에 따른 부담으로 일제히 하락했다. 범유럽 STOXX 600 지수는 0.55% 하락한 508.68로 마감했다. 독일 DAX 지수는 0.41% 하락한 2만1032, 영국 FTSE 100 지수는 0.29% 하락한 8224.19를 기록했다.
미국의 강력한 12월 고용지표에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도 다소 꺾였고, 인플레이션 상승에 대한 우려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그의 관세 전략에 대한 불확실성 등이 유럽증시를 짓눌렀단 진단이 나온다.
인도 증시는 미국의 금리 인하 전망 약화와 국제 유가 상승에 따라 1.50% 가까이 급락했다. 센섹스30 지수는 1.36% 하락한 7만6330, 니프티50 지수는 1.47% 하락한 2만3085.95로 마감했다.
미국의 강력한 고용 지표가 인도 시장의 투자 매력도를 떨어뜨렸고, 미 국채 금리 급등과 달러 강세가 루피 환율에 영향을 미쳤다. 아밴스 홀딩스의 아쇼바를단 켐카는 "외국인 자금 이탈이 심화하면서 인도 증시가 급락했다"고 지적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외국인 기관 투자자들은 1월 들어 현재까지 약 25억 달러(약 3조 6780억원) 상당의 인도 주식을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